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 일반 개념

조경기능사 필기 내용 첫번째 시간으로 일반적인 개념에 대해서는 알고 있어야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단순히 우리집 마당 정원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쉽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공원, 학교, 휴양지, 실내 등 어디에나 조경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주위를 둘러 보세요. 조경기능사 필기부터 차근차근 이어갑니다. START!

조경기능사 필기

조경일반

 

조경이란?

 

1) 조경이란?

:: 조경을 포함한 광범위한 옥외공간을 계획, 설계, 시공, 관리 하는 행위

  • 조경사와 정원사는 개념이 다르다.
  • 좁은 의미의 조경은 집주변
  • 넒은 의미의 조경은 광범위한 옥외공간

 

2) 조경의 개념

  • 옴스테드 "1858년" :: "자연과 인간에게 봉사하는 분야"
  • 현대 조경의 아버지로 미국 센트럴파크의 설계자, 조경, 조경가 (Landscape Architect)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
  • 미국조경가협회 ASLA "1909년" 창설 :: 인간의 이용과 즐거움을 위하여 토지를 다루는 기술
  • 1975년 실용성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쾌적한 환경 조성을 목표
  • 자연보전과 효율적 관리를 도모
  • 문화 및 과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설계, 계획하고 토지를 관리하며, 자연적, 인공적 요소를 구성하는 기술

 

3) 근대적 의미의 조경교육 (년도알기)

  1. 1900년 미국 하버드대 디자인대학원 조경학과 개설 (현대적 학문체계등장)
  2. 1909년 펜실베니아대, 1915년 오하이오 주립대 조경학과 개설
  3. 한국 1963년 한국 공원법 제정
  4. 한국 1970년대 조경용어시작, 조경개념도입
  5. 한국 1973년 서울대, 영남대 조경학과 신설. "조원 분야"에서 "조경학"으로 탈바꿈(조원은 일본에서 쓰던 용어)
  6. 한국 1975년 우리나라 조경설계기준 

 

4) 조경의 용어

한국 : 조경 (경관을 건축) / 중국 : 원림 (정원과 수풀) / 일본 : 조원 (자연재료를 이용하여 아름답게 만드는 것)

 

 

5) 조경의 필요성

우리나라(한국)에서 처음 조경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 가장 큰 이유로는 1970년대 국토개발로 인한 자연훼손을 해결하고자 도입

 

 

6) 조경의 과정

계획(자료수집, 분석) → 설계(자료를 토대로 도면과 내역서 등 3차원적 공간 창조) → 시공(설계도서대로 공학적지식과 기술을 통해 현실화) → 관리(이용자가 편리하고 조경이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

 

 

7) 조경의 대상

  • 정원 : 주택 및 공동주거단지 정원, 학교정원, 상업용빌딩정원, 옥상정원, 실내정원 등
  • 자연공원 :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지질공원 등
  • 도시공원/녹지 : 생활권 공원, 주제공원, 녹지 등
  • 문화재 : 궁궐, 사찰, 왕릉, 전통민가, 고분, 사적지 등
  • 위락/관광시설 : 유원지, 휴양지 자연휴양림, 해수욕장, 골프장, 마리나 등
  • 생태계 복원시설 : 생태연못, 자연형 하천, 야생동물 이동통로, 법면녹화(인위적 경사면), 비오톱(인공 생물 서식 공간) 등

 

8) 조경 직무 내용

  • 설계전문가 : 계획, CAD, 시방서, 감리
  • 시공전문가 : 설계변경, 시공기술(시설물, 식재), 견적
  • 관리전문가 : 식재, 시설물을 관리하는 기술자 (나무의사)

 

9) 조경가의 자질

  • 자연과학적 지식 : 수목, 토양, 지질, 수문, 기후 등 자연의 원리를 깨달아 계획 할 수 있어야 한다.
  • 공학적 지식 : 건축, 토목에 대한 지식과 방법을 알아야 한다.
  • 예술적 지식 : 아름다운 공간과 경관을 창조 할 수 있어야 한다. (선천적만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배울 수 있다고 함)
  • 인문사회과학적 지식 : 인류학, 지리학, 사회학, 환경 심리학 등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조경기능사 시험은 조경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실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자격증 시험입니다. 조경일반개념을 잘 이해 하는 것은 기본적인 이론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경은 자연환경과 사람의 생활을 연결하는 중요한 분야로, 자연을 보존하면서도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론적인 지식 외에도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능력이 중요하므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실무적 감각을 키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조경설계와 관리가 중요한 시대에 걸맞은 전문성을 갖추어 보시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조경양식에 대해서 배워봅니다.

 

블로그 이미지

.TISTORY

최교수 8의 마법 이제 시작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