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필기 :: 조경재료 - 조경식물
1. 조경수목
1) 성상(나무모양)에 따른 분류
- 식물의 성상(나무모양)에 따른 분류 - 교목, 관목, 만경류, 지피, 초화
- 교목 : 줄기가 곧고 줄기와 가지의 구분이 명확
- 관목 : 뿌리 부근부터 줄기가 여러갈래로 나와 줄기와 가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나무, 수고가 높지 않은 나무
- 덩굴성 식물 : 담쟁이 덩굴처럼 자립하지 못하고, 벽이나 기둥 등 다른 물체를 감거나 부착하여 생장하는 나무
구분 | 주요 수종 |
교목 | 버즘나무, 은행나무, 왕벚나무, 자작나무, 메타세쿼이아, 느티나무, 단풍나무, 잣나무, 주목, 편백, 아왜나무, 독일가문비, 전나무, 소나무, 동백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등 |
관목 | 철쭉, 회양목, 사철나무, 진달래, 영산홍, 자산홍, 개나리, 모란, 산철쭉, 옥향, 분꽃나무, 화살나무, 생강나무, 돈나무, 무궁화, 팔손이, 협죽도, 모란, 수국, 명자나무, 쥐똥나무, 매자나무, 미선나무 등 |
덩굴성 식물 | 등나무, 담쟁이넝굴, 능소화, 포도나무, 오미자, 인동넝굴, 으름덩굴, 송악, 멀꿀 등 |
- 식물의 잎의 모양에 따른 분류 - 침엽수, 활엽수
- 침엽수 : 뾰족한 바늘모양의 잎을 가진 겉씨 식물의 목본류
- 활엽수 : 넓은 잎을 가진 속씨식물의 목본류
구분 | 주요 수종 |
침엽수 | 소나무, 곰솔, 전나무, 향나무, 잣나무, 주목, 독일가문비, 구상나무, 비자나무, 삼나무, 눈향나무, 개비자, 설악눈주목, 편백, 화백, 낙우송 등 |
활엽수 | 가시나무, 태산목, 후박나무, 동백나무, 아왜나무, 굴거리나무, 먼나무, 돈나무, 남천, 회양목, 호랑가시나무, 사철나무, 광나무, 식나무, 서어나무, 상수리나무, 자귀나무, 자작나무, 느티나무, 백목련, 모과나무, 양버즘나무, 백합나무, 층층나무, 산수유, 회화나무, 아까시, 살구, 호두, 탱자나무, 왕벚나무, 배롱나무, 단풍나무, 이팝나무, 감나무, 대추나무, 화살나무, 황매화, 수국, 생강나무, 철쭉, 산철쭉, 무궁화, 모란, 장미, 해당화, 쥐똥나무, 미선나무, 흰말채나무, 명자나무, 조팝나무 등 |
- 식물의 상태에 따른 분류 - 상록수, 낙엽수
- 상록수 : 항상 푸른 잎으로 낙엽이 지더라도 한꺼번에 모두 낙엽이 되지 않는 수목
- 낙엽수 : 낙엽계절이 되면 모든 잎이 낙엽 혹은 고엽이 되는 수목
구분 | 주요 수종 |
상록수 | 소나무, 백송, 전나무, 섬잣나무, 독일가문비, 가시나무, 사철나무, 동백나무, 회양목, 곰솔, 향나무, 주목, 잣나무, 비자나무, 삼나무, 눈향나무, 개비자, 설악눈주목, 가시나무,태산목, 후박나무, 동백나무, 아왜나무, 굴거리나무, 돈나무, 남천, 회양목, 호랑가시나무, 사철나무, 광나무, 식나무, 먼나무 등 |
낙엽수 | 은행나무, 낙엽송, 칠엽수, 층층나무, 백목련, 단풍나무, 산수유, 메타세쿼이아, 자귀나무, 자작나무, 느티나무, 백목련, 모과나무, 양버즘나무, 백합나무, 층층나무, 산수유, 회화나무, 아까시, 살구, 호두, 탱자나무, 왕벚나무, 서어나무, 배롱나무, 단풍나무, 이팝나무, 감나무, 대추나무, 화살나무, 황매화, 수국, 생강나무, 철쭉, 산철쭉, 무궁화, 모란, 장미, 해당화, 쥐똥나무, 미선나무, 흰말채나무, 명자나무, 조팝나무, 보리수나무 등 |
2) 관상면으로 본 분류
- 꽃이 아름다운 나무 - 계절별, 꽃 색상별
계절 | 색상 | 주요수종 |
봄 | 적색 | 동백나무, 명자나무, 박태기나무, 진달래, 철죽, 홍매화 등 |
백색 | 백목련, 이팝나무, 산사나무, 옥매, 왕벚나무, 수수꽃다리 등 | |
황색 | 개나리, 산수유, 생강나무, 황매화, 풍년화 등 | |
자색 | 등, 자목련 등 | |
여름 | 적색 | 장미, 배롱나무, 자귀나무, 무궁화 등 |
백색 | 산딸나무, 층층나무 등 | |
황색 | 능소화 등 | |
자색 | 수국, 모란, 정향나무, 무궁화 등 |
계절 | 색상 | 주요 수종 |
가을 | 적색 | 싸리, 부용, 무궁화 등 |
백색 | 호랑가시나무, 등 | |
황색 | 금목서 등 | |
자색 | 싸리 등 | |
겨울 | 적색 | 매실나무, 오리나무 등 |
백색 | 팔손이, 호랑가시나무 등 | |
황색 | 풍년화 등 |
-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
구분 | 주요 수종 |
붉은 열매 | 주목, 낙상홍, 피라칸타, 팥배나무, 마가목, 산수유, 남천, 대추나무, 감나무, 감탕나무, 자금우, 식나무, 자두나무, 오미자, 석류나무 등 |
황색 열매 | 살구나무, 봉숭아나무, 모과나무, 은행나무, 탱자나무, 매실나무 등 |
흑색 열매 | 생강나무, 쥐똥나무, 팔손이, 왕벚나무 등 |
자색 열매 | 작살나무, 개머루, 노린재나무 등 |
- 단풍이 아름다운 나무
구분 | 주요 수종 |
적색단풍 | 단풍나무, 붉나무, 감나무, 화살나무, 마가목, 낙상홍, 산딸나무, 옻나무, 담쟁이덩굴 등 |
황색단풍 | 은행나무, 고로쇠나무, 계수나무, 생강나무, 침엽수, 벽오동, 자작나무, 백합나무 등 |
- 수피가 아름다운 나무
구분 | 주요 수종 |
백색계 | 백송, 자작나무, 분비나무, 서어나무, 버즘나무, 동백나무 등 |
얼룩무늬 | 모과나무, 배롱나무, 노각나무 등 |
청색계 |
3) 이용상으로 본 분류
구분 | 내용 | 주요 수종 |
녹음식재 | 지하고가 높은 활엽수 잎이 크고 밀생, 무성하여 그늘 형성에 적합 (낙엽활엽수)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 겨울에는 햇빛을 가리지 않아야 함 |
느티나무, 버즘나무(플라타너스), 은행나무, 회화나무, 칠엽수, 백합나무, 벽오동, 메타세콰이아, 갈참나무, 팽나무 등 |
차폐식재 | 지하고가 낮고, 밀생하며 아랫가지가 말라죽지 않고 전정에 강한 상록수종 은폐 및 시선 차단 목적으로 울타리로도 많이 쓰임 |
주목, 측백, 향나무, 사철나무, 꽝꽝나무, 쥐똥나무, 개나리, 회양목, 탱자나무, 무궁화, 돈나무, 아왜나무, 명자나무, 피라칸타, 호랑가시나무, 찔레나무 등 |
방음식재 | 지하고가 낮고 수직방향 밀생하는 상록활엽교목 도로변 배기가스 및 공해에 강한 수종 |
사철나무, 광나무, 식나무, 아왜나무, 녹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 개잎갈나무, 회화나무, 피나무, 호랑가시나무 등 |
방풍식재 | 바람에 꺾이지 않고 지옆이 치밀한 심근성 상록 수종 | 곰솔, 삼나무, 가시나무류, 편백, 후박나무, 녹나무, 은행나무, 아왜나무, 사철나무, 참나무, 전나무 등 |
방화식재 | 잎이 두껍고, 밀생, 함수량이 큰 상록수 | 광나무, 식나무, 아왜나무, 가시나무, 사철나무, 은행나무, 굴참나무 등 |
지표식재 | 상징성, 유인성, 식별성을 가진 관상가치가 큰 수목 | 소나무, 독일가문비, 메타세쿼이아, 주목, 회화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등 |
지피식재 | 지표피복을 통한 침식방지, 미적효과 키가 작고 답압에 강하며, 생장과 번식이 왕성한 상록성 다년생 수종 |
잔디류, 맥문동, 조릿대, 원추리 등 |
가로수식재 | 지하고가 높고, 녹음을 제공하는 낙엽활엽교목 | 은행나무, 느티나무, 백합나무, 회화나무, 플라타너스(버즘), 벚나무, 가중나무, 은단풍, 칠엽수, 메타세쿼이아 등 |
4) 조경수목의 특성
- 수형의 형태와 규격
구분 | 명칭 | 내용 |
수고 | H (Hedight) | 지표면에서 수관 정상까지의 거리로 단위는 m로 나타낸다 |
수관폭 | W (Width) | 수관투영면 양단의 직선거리로 단위는 m로 나타낸다 |
흉고직경 | B (Breast) | 지표면에서 1.2m 높이의 수간직경으로 단위는 cm |
근원직경 | R (Root) | 지표면에 접하는 줄기의 직경으로 단위는 cm |
지하고 | BH (Brace Height) | 지표면에서 수관의 가장 아래가지까지의 수직높이로 필요시 적용, 단위는 m |
- 수관에 따른 수형의 형태
구분 | 주요 수종 |
원추형 | 메타세쿼이아, 삼나무, 낙우송, 전나무, 독일가문비, 낙엽송, 주목 등 |
우산형 | 편백, 화백, 반송, 층층나무, 왕벚나무, 매화나무, 복숭아나무 등 |
구형 | 졸참나무, 가시나무, 녹나무, 수수꽃다리, 화살나무, 회화나무 등 |
난형 | 백합나무, 측백나무, 동백나무, 태산목, 계수나무, 목련, 버즘나무 등 |
원주형 | 무궁화, 부용, 포플러류 등 |
배상형 | 느티나무, 단풍나무, 배롱나무, 자귀나무, 가중나무, 산수유, 석류나무 등 |
능수형 | 능수버들, 용버들, 수양벚나무, 실화백, 실측백 등 |
만경형 | 능소화, 인동덩굴, 담쟁이덩굴, 등나무, 으름덩굴, 송악, 줄사철나무 등 |
포복형 | 눈향나무, 눈잣나무 등 |
- 수세(생장속도), 맹아력, 이식에 따른 분류
- 맹아력 : 줄기나 가지에 상해를 잎으면 새로운 눈이 자라나 싹이 나오는 힘 (강한 경우 형상수 토피어리나 산울타리용으로 적합)
구분 | 주요 수종 |
생장이 매우 느린 수종 | 회양목, 주목, 비자나무 등 |
생장이 느린 수종 | 백송, 구상나무, 섬잣나무, 독일가문비, 감탕나무, 감나무, 때죽나무, 산사나무, 향나무, 꽝꽝나무, 굴거리나무, 동백나무, 호랑가시나무, 다정큼나무, 감나무, 모란, 낙상홍, 매실나무, 마가목, 서향, 모과나무, 함박꽃나무 등 |
생장이 빠른 수종 | 양버즘나무, 낙우송, 대왕송, 삼나무,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편백, 곰솔, 개잎갈나무, 태산목, 후박나무, 아왜나무, 사철나무, 칠엽수, 보리수나무, 수국, 조팝나무, 화살나무, 해당화, 광나무, 식나무, 팔손이, 가죽나무, 은행나무, 일본목련, 자작나무, 층층나무, 무궁화, 왕벚나무, 버드나무류, 붉나무, 생강나무, 회화나무, 단풍나무, 산수유, 박태기나무, 명자나무, 돈나무 등 |
맹아력이 약한 수종 | 소나무, 곰솔, 잣나무, 자작나무, 살구나무, 칠엽수 등 |
맹아력이 강한 수종 | 낙우송, 메타세쿼이아, 회양목, 졸참나무 위성류, 능수버들, 피나무, 쥐똥나무, 피라칸타, 화상나무, 병꽃나무, 회화나무, 양버들, 왕버들, 매화나무, 무궁화, 수수꽃다리, 개나리, 낙상호, 비자나무, 삼나무, 가시나무, 굴거리나무, 일본잎갈나무, 개잎갈나무, 광나무, 꽝꽝나무, 호랑가시나무, 가중나무, 느티나무 등 |
이식이 어려운 수종 | 소나무, 전나무, 주목, 섬잣나무, 가시나무, 독일가문비, 굴참나무, 때죽나무, 칠엽수, 전나무, 굴거리나무, 목련, 백합나무, 감나무, 자작나무 등 |
이식이 쉬운 수종 | 측백, 버드, 쥐똥, 은행나무, 낙우송, 편백, 메타세콰이어, 버즘, 사철, 철쭉류, 벽오동, 수양버들, 무궁화, 명자나무 등 |
- 향기 및 질감에 따른 분류
구분 | 주요 수종 |
꽃의 향기 | 장미, 일본목련, 매화나무, 목서류(금목서, 은목서), 서향, 수수꽃다리, 함박꽃나무, 인동덩굴 등 |
잎의 향기 | 미국측백, 백동백나무, 생강나무, 월계수, 녹나무 등 |
줄기 향기 | 모과나무, 녹나무 등 |
거친 질감 수종 | 버즘나무(플라타너스), 칠엽수, 태산목, 벽오동, 팔손이나무 등 |
고운 질감 수종 | 철쭉류, 소나무, 편백 등 |
5) 조경수목과 환경
- 기온에 따른 분류
- 추위에 잘 견디는 내한성 수종 : 독일가문비, 주목, 전나무, 잣나무, 계수나무, 마가목, 목련, 은행나무, 화살나무, 네군도단풍, 일본잎갈나무, 자작나무, 양버즘, 박태기, 수수꽃다리, 쥐똥나무, 진달래, 철쭉, 개나리 등
산림대 | 연평균기온 | 주요 수종 | |
침엽수(한대) | 5도 | 잣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분비나무, 잎갈나무, 종비나무 등 | |
낙엽활엽수(온대) | 북부 | 5~10도 | 전나무, 잣나무, 사시나무, 거제수나무, 박달나무, 신갈나무 등 |
중부 | 10~12도 | 소나무, 전나무, 향나무, 밤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때죽나무 등 | |
남부 | 12~14도 | 곰솔, 서어나무, 팽나무, 대나무류, 굴피나무, 사철나무, 단풍나무 등 | |
상록엽수(난대) | 14도 | 동백나무, 사철나무, 가시나무, 녹나무, 아왜나무, 멀구슬나무 등 |
- 광선량에 따른 분류
- 양수 : 생장가능 광선량이 전 광선량의 70%
- 음수 : 생장가능 광선량이 전 광선량의 50%
구분 | 주요 수종 |
양수 | 포플러나무, 플라타너스, 튤립, 쥐똥나무, 향나무, 층층나무, 측백나무, 은행나무, 붉나무, 히말라야시다, 자귀나무, 밤나무, 배롱나무, 벚나무, 삼나무, 오동나무, 무궁화, 등, 산수유, 위성류, 오리나무, 이팝나무, 자작나무, 주엽나무, 낙엽송, 소나무, 개나리, 메타세쿼이아, 모과나무, 조팝나무, 석류나무, 철쭉, 느티나무, 가중나무, 참나무류, 백목련 등 |
음수 | 독일가문비, 회양목, 사철나무, 주목, 식나무, 팔손이, 후박나무, 나한백, 주목, 개비자, 너도밤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녹나무, 칠엽수, 함백, 단풍나무, 서어나무, 자금우, 송악, 맥문동, 회양목, 굴거리나무 등 |
중용수 | 잣나무, 삼나무, 섬잣나무, 화백, 목서류, 침엽수, 회화나무, 벚나무, 계수나무, 쭉동백, 단풍나무, 수국, 담쟁이덩굴 등 |
- 수분의 영향
- 척박지에 잘 견디는 수종 : 소나무, 향나무, 곰솔, 버드나무, 능수버들, 자귀나무, 졸참나무, 자작나무, 노간주나무, 보리수나무, 아까시, 상수리나무 등
- 영구위조점 : 시들어버린 식물에 다시 물을 주어도 회복하지 못하는 위조점, 영구위조시 토양의 함수량 모래 2~4%, 진흙 35~37%
구분 | 주요 수종 |
내습성(습지에 강한 수종) | 낙우송, 메타세쿼이아, 버드나무, 오동나무, 수국, 계수나무, 위성류 등 |
내건성(건조지에 강한 수종) | 소나무, 향나무, 해송(곰솔), 사시나무, 자작나무, 산오리나무, 해당화, 가중나무, 노간주나무 등 |
습지와 건조지에 강한 수종 | 사철나무, 돈나무, 꽝꽝나무, 버즘나무, 보리수나무, 자귀나무, 명자나무, 박태기나무, 신당화 등 |
- 토심에 따른 수종
구분 | 주요 수종 |
심근성 수종 (뿌리깊게) |
소나무, 전나무, 해송, 주목, 일본목련, 동백나무, 느티나무, 백합나무, 백목련, 후박나무, 잣나무, 태산목, 종가시나무, 섬잣나무, 상수리나무, 은행나무 등 |
천근성 수종 (뿌리얕게) |
독일가문비, 일본잎갈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아까시, 포플러, 현사시나무, 편백나무, 매실나무 등 |
- 생존·생육 최소 토심
구분 | 생존 최소 토심 | 생육 최소토심 |
잔디 및 초화류 | 15cm | 30cm |
소관목 | 30cm | 45cm |
대관목 | 45cm | 60cm |
천근성 교목 | 60cm | 90cm |
심근성 교목 | 90cm | 150cm |
- 대기오염의 영향
구분 | 주요 수종 |
아황산가스에 강한 수종 | 편백, 화백, 은행나무, 가중나무, 가시나무, 사철나무, 벽오동나무, 플라타너스, 능수버들, 쥐똥나무, 가이즈까향나무, 후박나무, 비자나무, 향나무, 구실잣밤나무, 꽝꽝나무, 광나무, 돈나무, 동백나무, 식나무, 팔손이, 회화나무, 사시나무, 층츠나무, 버드나무, 자귀나무 등 |
아황산가스에 약한 수종 | 독일가문비, 낙엽송, 삼나무, 전나무, 느티나무, 자작나무, 감나무, 왕벚나무, 조팝나무, 단풍나무, 매화나무, 리기다소나무, 히말라야시더, 소나무, 백합나무, 반송, 개잎갈나무 등 |
- 염분의 영향 (염분에, 내조성이 강한 수종)
구분 | 주요 수종 |
내염성이 강한 수종 | 비자나무, 주목, 감탕나무, 먼나무, 아왜나무, 광나무, 꽝꽝나무, 금목서, 돈나무, 편백나무, 곰솔, 노간주나무, 향나무, 측백, 가이즈카향나무, 식나무, 동백나무, 회양목, 아카시아, 벽오동, 팔손이, 느티나무, 참나무, 감나무, 호두나무, 배롱나무, 무궁화, 매자나무, 탱자나무, 참느릅나무, 칠엽수, 담쟁이덩굴, 등, 마삭줄, 멀꿀, 인동덩굴, 송악, 모람, 위성류, 때죽나무, 대추나무, 노박덩굴, 굴거리나무, 녹나무, 호랑가시나무, 모감주나무, 쥐똥나무, 진달래, 팽나무 등 |
내염성이 약한 수종 | 독일가문비, 소나무, 잎갈나무, 피나무, 단풍나무, 백목련, 자목련, 일본목련, 버드나무, 개나리, 죽단화(겹황매화), 스트로브잣나무 등 |
- 바람의 영향 (바람에 약한 나무)
미루나무, 아까시, 양버들
2. 지피식물
1) 지피식물의 조건
- 지표면을 치밀하게 피복해야함
- 식물체의 키가 낮고, 다년생이며 부드러워야 함
- 번식력이 왕성하고, 생장이 비교적 빨라야 함
- 성질이 강하고, 환경조건에 대한 적응성이 넓어야 함
- 관리가 용이하고, 병충해에 잘 견뎌야 함
2) 지피식물의 효과
- 운동 및 휴식공간제공
- 미적효과
- 흙먼지 방지
- 토양유실방지
- 강우로 인한 진땅 방지
3) 지피식물의 분류
구분 | 주요 수종 |
난지형잔디(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 들잔디, 금잔디, 비단잔디, 갯잔디, 버뮤다그래스 |
한지형잔디(대부분 유럽) | 켄터키블루그래스, 벤트그래스, 톨훼스큐, 페레니얼라이그래스, 이탈리안그래스 |
소관목류 | 회양목, 눈향나무, 둥근향나무, 철쭉류, 눈주목 등 |
초본류 | 맥문동, 비비추, 질경이, 원추리, 꽃잔디, 클로버 등 |
덩굴성 식물류 | 송악, 칡, 헤데라 등 |
기타 | 조릿대류, 고사리류, 선태류 등 |
- 난지형잔디
- 아시아(국내), 아프리카, 남미 원산지
- 답압, 공해, 병충해에 강하며 유지관리가 용이
- 일조시간 최소 5시간 이상의 햇빛이 닿는 양지바른 30% 이하의 완경사에 적절
- 습지에 약해 배수가 잘되는 양토나 사질양토가 좋음
- 주로 떼를 떠서 번식, 영양번식
- 5개월 정도 녹색
- 5~6월 파종, 낮게자라며 뿌리가 깊고 건조에 강함
- 병해보다 충해에 약하다
- 한지형잔디
- 대부분 유럽지역 원산지
- 더위와 병에 약하므로 관수 및 비배 관리에 많은 노력이 소요
- 종자로 번식
- 9개월 정도 녹색
- 녹색기간이 길고, 뿌리가 얕다. 내한성이 강하나 내건조성, 내답압성이 약하다.
- 충해보다 병해에 약하다
- 들잔디 : 한국잔디 대부분을 차지하며 내마모성이 우수, 운동경기장에 사용, 생장은 느린편, 하루 최소 4시간 이상의 일조량을 요구한다.
- 버뮤다그래스 : 서양잔디 중 유일한 난지형 잔디, 생장이 빠르고, 내한성 양호
- 벤트그래스 : 잔디 중 가장 품질이 좋아 골프장 그린으로 사용, 병충해에 가장 약하다
- 켄터키블루그래스 : 내음성이 비교적 좋고, 서늘한 기후에서도 품질유지, 손상시 회복력이 좋아 골프장 페어웨이로 많이 사용
- 톨 훼스큐 : 질감이 거칠고 척박지에 잘 견디며, 조성속도가 빠르고 뿌리가 깊어 비탈면 녹화에 이용
- 페레니얼라이그래스 : 내답압성 좋고, 발아속도와 잔디조성 속도가 빨라 골프장 러프나 경기장, 비탈면에 적합
3. 초화류
1) 초화류의 분류
분류 | 구분 | 주요 식물 | |
한해살이(1,2년생) | 봄뿌림(춘파일년초) | 여름가을 | 맨드라민, 샐비어, 나팔꽃, 패튜니아, 과꽃, 메리골드, 백일홍 등 |
가을뿌림(추파일년초) | 봄꽃 | 팬지, 금잔화, 프리뮬러, 데이지, 금어초 등 | |
두해살이(2년생) 초화류 | 디기탈리스, 초롱꽃, 접시꽃, 물망초 등 | ||
여러해살이(다년생) 초화류 | 국화, 베고니아, 부용, 도라지, 꽃창포, 숙근플록스, 옥잠화, 금계국, 루드베키아, 작약 등 | ||
알뿌리(구근) 초화류 | 봄심기(춘식구근) | 여름가을 | 다알리아, 칸나, 아마릴리스, 글라디올러스, 상사화 등 |
가을심기(추식구근) | 봄꽃 | 튤립, 히아신스, 나리(백합), 수선화, 크로커스, 아네모네 등 | |
수생초류 | 수련, 연, 붓꽃과, 부평초, 붕어마름 등 |
2) 화단의 종류
- 평면화단
구분 | 특징 |
화문화단 | 양탄자화단 또는 자수화단, 모전화단 |
리본화단 | 통로나 산울타리, 담장, 건물 주변에 좁고 길게 만든 화단으로 대상화단이라고도 함 |
포석화단 | 통로, 연못 주위에 돌을 깔고 돌 사이에 작은 초화류를 식재해 돌과 조화시켜 관상하는 화단 |
- 입체화단
구분 | 특징 |
기식화단(모둠화단) | 잔디밭 중아이나, 광장의 중앙, 축의 교차점에서 주로 고성되는 화단의 형태 중앙에는 비교적 키가 큰 직립성 초화를 심고, 주변부로 갈수록 키 작은 초화를 심어 조성 |
경재화단 | 도로, 건물, 산울타리, 담장을 배경으로 폭이 좁고 길게 만다는 화단의 형태 전면 한쪽에서만 관상이 가능하므로 앞쪽에는 키가 작은 초화류를 식재하고, 뒤쪽은 키가 큰 초화류를 배치하여 입체적으로 조성 |
노단화단 | 경사지를 계단 모양으로 쌓고 축대 위에 초화를 심어 조성 |
- 특수화단
구분 | 특징 |
침상화단 | 지면 보다 1m 정도 낮게 조성한 화단 |
수재화단 | 물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을 연못에 가꾸어 관상하는 화단 |
3) 화단용 포화류의 조건
- 모양이 아름다우며 키가 작아야 한다
-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꽃이 많이 달려야 한다
- 꽃의 색깔이 선명하고, 개화기간은 길어야 한다
- 바람, 건조, 병해충에 견디는 힘이 강해야 한다
- 성질이 강건하여 나쁜 환경에서도 잘 자라야 한다
조경기능사 필기에서 다루는 조경식물은 조경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환경적 특성과 용도에 맞는 식물을 선택하여 미적 효과를 높이고, 생태적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위와 같이 요약된 내용들이 너무 많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잘 생각해보면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들이니 어렵지 생각말고, 잘 이해하면서 생각하는게 중요 합니다.
그리고 단순히 디자인에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조경식물의 기후, 토양, 햇볕 등의 조건을 맞게 선택해 식물의 생육 환경을 적절히 맞춰주어 식물들을 배치한다면 더 자연스럽고 지속 가능한 조경환경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조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 시설 공사 (기타재료) (1) | 2025.03.21 |
---|---|
조경기능사 필기 :: 식재 재료 (1) | 2025.03.19 |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설계 (공간별 조경설계) (1) | 2025.02.28 |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설계 - 디자인원리 (1) | 2025.02.28 |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 설계 - 설계기준 (2)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