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 :: 기출문제 요점정리(3)
조경기능사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무작정 기본 요점정리도 중요하겠지만 기출문제 및 모의고사 문제유형을 접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지금처럼 얼마남지 않은 시점에서는 기출문제, 모의고사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 토양수분과 조경 수목과의 관계 중 습지를 좋아하는 수종
- 주엽나무는 습지를 좋아하는 대표적인 수종
- 그 외에도 낙우송, 메타세쿼이아, 오리나무, 버드나무류 등
2. 크레오소트유를 사용하여 내용연수가 장기간 요구되는 철도 침목에 많이 이용되는 방부법 = 가압주입법
- 가압주입법 - 압력용기 속에 목재를 넣고 가압하여 방부액(크레오소트유)을 나무 깊이 주입하는 방법으로 내용연수가 장기간 요구되는 철도 침목에 많이 이용
- 표면탄화법 - 목재의 표면을 두께 3~12cm 정도 태워 부패 저항성을 증대 시키는 방법
- 약제도포법 - 가장 일반적 방법으로 목재 건조 후 방부제 도포 하는 방법
- 상압주입법 - 가압주입법과 달리 방부제 용액 중에 목재를 침지하는 방법
3. 목재의 건조 조건목적과 가장 관련 설명
- 목재는 건조를 통해 부패를 방지하고 (균류 번식에 필요한 습기 제거), 강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
- 수축과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중량을 감소시켜 운반 및 취급에 편리하게 한다.
X - 무늬강조는 건조와 관련이 없다.
4. 벤치 좌면 재료 가운데 이용자가 4계절 가장 편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재료 = 목재
X - 플라스틱, 석재, 철재
5. 맹아력이 가장 강한 수종과 약한 수종
- 맹아력이 약한 수종 - 벚나무, 소나무, 해송, 잣나무, 자작나무, 낙엽송, 밤나무, 향나무, 단풍나무, 감나무 등
- 맹아력이 강한 수종 - 가시나무, 쥐똥나무, 사철나무, 낙우송, 메타세쿼이아, 회양목, 졸참나무, 위성류, 능수버들, 피나무, 화상나무, 피라칸타, 병꽃나무, 회화나무, 양버들, 왕버들, 매화나무, 무궁화, 수수꽃다리, 개나리, 낙상홍, 비자나무, 삼나무, 굴거리나무, 일본잎갈나무, 개잎갈나무, 광나무, 호랑가시나무, 가중나무, 느티나무, 꽝꽝나무 등
- 맹아력이란? - 식물의 줄기가 손상된 후에도 새로운 줄기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6. 유동화제에 의한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 중 가량의 표준 값 = 5~8cm
- 유동화제란 감수제, AE제와 더불어 혼화제의 일종으로 단위수량을 유지하면서 유동성을 향상(슬럼프 증가) 시켜 시공성(워커빌리티)을 향상시킨다.
-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 증가량의 표준값은 5~8cm
- 슬럼프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 질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클수록 묽다.(유동성이 크다.)
7. 화단 식재용 초화류의 조건
- 개화기간이 길 것
- 병해충에 강할 것
- 꽃이 많이 달릴 것
X - 화단에 식재하는 초화류는 생육조건을 고려하여 키가 큰 것을 피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8. 중국 조경에서 많이 이용되었던 중국의 태호석의 분류 = 괴석
- 태호석은 중국의 쑤저우 부근에 있는 타이후(태호) 주변의 구릉에서 채취하는 까무잡잡하고 구멍이 많은 복잡한 형태로 괴석으로 분류한다.
- 환석 = 고리형, 각석 = 각진모양, 와석 = 가로로 길게 누운 모양
9. 미국에서 하워드의 전원도시의 영향을 받아 도시 교외에 개발된 주택지로서 보행자와 자동차를 완전히 분리하고자 한 것 = 레드번(Red burn)
- 레드번(Red burn)
영국 하워드의 전원도시 개념을 적용하여 리이트와 스타인이 계획한 미국의 전원도시, 인구 25,000명 가량을 수용가능한 슈퍼블록(10~20ha)을 계획하여 보행자와 차량을 완전히 분리하고 지역내에는 막다른 골목을 뜻하는 쿨데삭(cul-de-sac)을 적용, 속도 감소효과와 면적 30% 이상의 녹지를 확보 - 레치워스, 웰린
하워드의 정원 속 도시 '가든시티' 개념에 따라 영국에 세워진 도시 - 요세미티
1890년 지정된 미국의 국립공원, 최초의 국립공원은 1872년 옐로우스톤 공원
10. 가장 가볍게 느껴지는 색 = 노랑
- 색상이 주는 가벼움과 무거움의 정도는 주로 명도와 관계가 있다. 명도가 높은 밝은 색은 가벼운 느낌을, 명도가 낮은 어두운 색은 무거운 느낌을 준다. 흰색 또는 밝은 노랑과 같은 색은 가볍게 느껴지며 적자색 또는 진한 붉은색의 경우 무겁게 느끼게 한다.
11. 녹지계통의 형태
- 녹지계통의 형태에는 녹지가 여러가지 형태로 분산된 형태의 분산형
- 도시를 중심으로 5~10km 폭으로 조성하는 환상형
- 도시 중심에서 외부로 방사선식 녹지대를 조성하여 도시 내외부의 연결이 좋으며 재난 시 시민들의 빠른 대피에 효과를 발휘하는 녹지형태인 방사형
- 환상형과 방사형 녹지 형태를 결합한 형태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이상적인 녹지형태인 방사환상형
12. 영국 정형식 정원의 특징 중 매듭화단 = 낮게 깎은 회양목 등으로 화단을 기하학적 문양으로 구획한 화단
- 가늘고 긴 형태로 한쪽 방향에서만 관상 할 수 있는 화단 - 경재화단
- 수목을 전정하여 정형적 모양으로 만든 미로 - 미원
- 카펫을 깔아 놓은 듯 화려하고 복잡한 문양이 펼쳐진 화단 - 화문화단(카펫화단)
13. 경관 구성의 기법 중 한 그루의 나무를 다른 나무와 연결시키지 않고 독립하여 심는 경우를 말하며 멀리서도 눈에 잘 띄기 때문에 랜드마크의 역할도 하는 수목 배치 기법 = 점식
- 점식
한 그루의 나무를 다른 나무와 연결시키지 않고 독립하여 심어 랜드마크의 역할도 하는 수목 배치 기법 - 열식
동형, 동수종의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직선상으로 식재 - 군식
다수의 수목을 하나의 덩어리로 일정지역을 덮는 방법으로 식재 - 부등변 삼각형 식재
크고 작은 세크루의 나무가 부등변 삼각형을 이루도록 서로 간격 달리하되 한 직선위에 서지 않도록 하는 식재
14. 잔디밭, 일제림, 독립수 등의 경관에 나타나는 아름다움 = 단순미
- 단순미
한가지 요소로 표현하여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데서 드러나는 아름다움 = 잔디밭, 일제림, 독립수 등 - 조화미
모양이나 색깔 등이 비슷비슷하면서도 실은 똑같이 않은 것끼리 균형을 이루는 미 - 점층미
형태나 선, 빛깔, 음향 등이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느껴지는 아름다움
- 점층미를 통해 실제 면적보다 10% 더 크고 넓게 느껴지도록 표현이 가능 - 대비미
조경공간 구성 재료를 질적, 전혀다른 것으로 배열하여 서로의 특성이 강조 될 때, 보는 사람에게 강한 자극을 주는 조경미
15. 개인주택이나 정원이나 아파트단지 등 공동주택의 조경 = 주거지
16. 조경계획을 실시할 때 조사해야 할 자연환경 요소
- 조경계획에서 조사해야 할 요소는 자연환경적 요소와 인문환경적 요소로 볼 수 있다.
- 자연환경요소 : 지형, 토양, 식생, 토질, 수문, 야생동물, 기후 등
- 인문환경요소 : 인구, 토지이용, 교통, 시설물 등
17. 묘원 정원 = 타지마할
- 타지마할은 인도 아그라의 남쪽, 자무나 강가에 자리잡은 궁전 형식의 묘지로 무굴제국의 황제였던 샤 자한이 왕비 뭄타즈마할을 추모하여 건축한 것
18. 골프장 코스 중 출발지점을 가리키는 것 = 티(tee)
- 티(tee) - 출발지점
- 페어웨이(fair way) - 티에서 그린까지 구간의 중앙 부분에 있는 코스 대부분을 차지하는 곳
- 해저드(hazard) - 모래벙커 및 언덕 등 장애물을 뜻
- 그린(green) - 홀이 있는 곳으로 벤트그라스 등 짧게 깎은 고운 잔디로 구성하여 퍼팅으로 공을 굴리기 용이한 지역
19. 중국정원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것 = 상림원
- 상림원
- 중국 한나라 무제 때(기원전 138년) 조성된 중국 정원의 기원, 70개의 이궁과 곤명호를 비롯한 6개의 대호수를 만들어 3,000여종의 꽃나무를 심고 짐승을 사육하며 사냥터와 낚시터로 쓰임
20. 시설물의 기초부위에 발생하는 토공량의 관계식
- 되메우기 토량 = 터파기 체적 - 기초 구조부체적
21. 제도에서 사용되는 물체의 중심선, 절단선, 경계선 등을 표시하는데 가장 적합한 선 = 1점쇄선
- 1점쇄선(가는선)은 물체의 중심선, 기준선, 절단선, 부지경계선(지역구분) 등의 가상선을 나타낸다.
22. 미기후에 대한 설명
- 야간에는 언덕보다 골짜기의 온도가 낮고, 습도는 높다.
- 야간에 바람은 산위에서 계곡을 향해 분다.
- 호수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곳은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서늘하다.
23. 조경에서 수목의 규격표시와 기호 및 단위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
- 수관폭 - W - m
- 수고 - H - m
- 흉고직경 - B - cm
- 지하고 - BH - m
24. 단풍의 색깔
- 신나무 - 붉은 색 단풍
- 복자기 - 붉은 색 단풍
- 화살나무 - 붉은 색 단풍
- 고로쇠나무 - 노란색 단풍
25. 시멘트의 제조 시 응결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 하는 것 = 석고
26. 건축과 관련된 재료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하중속도
- 하중시간
- 온도와 습도
X - 재료의 색은 강도와 관련성이 없다.
27. 개화 시기
- 매화나무 (남부지방 1~3월, 중부지방 3~4월)
- 백목련 (3~4월)
- 수수꽃다리 (4~5월)
- 백합나무 (5~6월)
28. 플라스틱 제품 제작 시 첨가하는 재료
- 가소제
- 안정제
- 추진제
X - A.E제는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한 독립된 기포를 발생시켜 콘크리트의 작업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능을 향상시키는 콘크리트 혼화제
29. 활엽수이지만 잎의 형태가 침엽수와 같아서 조경적으로 침엽수로 이용하는 것 = 위성류
- 위성류는 활엽수이지만 잎의 형태가 침엽수와 같아서 조경적으로 침엽수로 이용
30. 일반적인 시멘트의 설명
- 시멘트의 수화반응 또는 발열반응에서의 발생열을 수화열이라고 한다.
- 일반적으로 시멘트라고 불리는 것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의미한다.
- 28일 강도를 설계기준강도라고 한다. 설계기준강도는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 시 계산의 기준이 되는 콘크리트 강도로서,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의 압축 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 포틀랜드 시멘트의 비중은 보통 3.15정도이다.
31. 용광로에서 선철을 제조할 때 나온 광석찌꺼기를 석고와 함께 시멘트에 섞은 것으로서 수화열이 낮고, 내구성이 높으며, 화학적 저항성이 큰 한편 투수가 적은 특징 = 고로시멘트
- 고로시멘트에 대한 설명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조기강도가 큰 특성을 발휘하는 포틀랜드 시멘트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수화열을 낮추어 조기강도보다는 장기강도를 높인 것 - 실리카 시멘트
화학적 저항성이 크고, 수밀성이 뛰어나다. 포졸란 반응(물과 수산화칼슘이 화합하여 불용성 염을 생성 후 경화)에 의해 장기강도가 높아 미장용 몰탈에 적합
32. 색깔별 꽃의 시기
- 산수유 꽃은 노란색으로 3월 중순~4월에 개화
- 등나무 꽃은 보라색(자색)으로 4~5월에 핀다.
- 박태기나무 꽃은 짙은 분홍색으로 4월에 개화
- 벚꽃나무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3월말~4월말 개화
33. 벽돌의 마름질에 따른 분류 명칭
- 벽돌을 마름질에 따라 분류하면 온장벽돌, 반절벽돌, 이오토막벽돌(온장의 25%인 1/4크기) 등으로 나눌 수 있고, 인방벽돌은 인방(창, 출입구 등 벽면 개구부 위에 보를 얹어 상부 하중을 받는 경우, 이 보를 인방이라고 한다.)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특수 제작된 벽돌
34. 일반적으로 추운 지방이나 겨울철에 콘크리트가 빨리 굳어지도록 주로 섞어주는 것 = 염화칼슘
- 염화칼슘(CaCl2)은 추운 지방이나 겨울철에 콘크리트가 빨리 굳어지도록 하는 경화촉진효과를 내며, 콘크리트 혼화제 중 경화시 응결촉진제의 주성분으로 조기강도를 크게 한다.
35. 목재의 방부재는 유성, 수용성, 유용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유용성으로 방부력이 대단히 우수하고 열이나 약제에도 안정적이며 거의 무색제품으로 사용되는 약제 = PCP
- PCP(펜타클로르페놀)는 유용성 방부제로 독성이 있으며,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무색 약제로 목재의 방부, 방충력이 우수하여 산업용으로 적합하다.
36. 목련과 중 상록성 수종에 해당 = 태산목(상록활엽교목)
- 함박꽃나무(목련과 낙엽활엽관목)
- 자목련(낙엽활엽교목)
- 일본목련(낙엽활엽교목)
37. 골프장의 그린에 주로 식재되어 초장을 4~7mm로 짧게 깎아 관리하는 잔디 = 벤트그래스
- 벤티그래스
- 한지형 잔디로서 내한성이 강하며, 고온에 견디는 힘이 강할 뿐만 아니라, 내음성도 강하다. 연중 녹색을 감상할 수 있어 골프장의 그린에 주로 식재되며 초장을 4~7mm로 짧게 깎아 관리하는 잔디이다.
38. 보행에 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지형에서 계단 설치 해야 하는 경사도 = 18%
- 경사가 18%를 초과하는 경우는 보행에 어려움이 발생되지 않도록 계단을 설치한다.
39. 일반적으로 빗자루병이 가장 발생하기 쉬운 수종 = 대추나무
40. 겨울전정의 설명
- 제거 대상가지를 발견하기 쉽고 작업도 용이하다.
- 휴면 중이기 때문에 굵은 가지를 잘라 내어도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 12~3월에 실시한다.
- 겨울전정은 수형을 잡아주기 위해 보통 굵은 가지와 교차지, 역지, 내향지 등을 전정해준다.
- 제거 대상 가지 발견이 쉽고 작업이 용이하다.
- 주의할 점은 상록수는 세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동계 강전정을 피한다.
41.조경공사에서 수목 및 잔디의 할증률은 10% 이다.
- 수목이나 잔디, 초화류의 할증률은 10%를 적용해야한다.
42. 솔나방 생태적 특성
- 잎을 갉아먹는 식엽성 해충으로 분류한다.
- 1년에 1회로 성충은 7~8월에 발생한다.
- 유충이 잎을 가해하며, 심하게 피해받으면 소나무가 고사하기도 한다.
- 솔나방은 솔잎에 약 500개의 알을 낳는다.
- 솔나방 구제에는 디프제(디프록스)
43. 조경수목 중 탄수화물의 생성이 풍부할 때 꽃이 잘 필 수 있는 조건에 맞는 탄소와 질소의 관계
- N < C
C/N율이 높을 때 꽃눈 분화가 촉진된다. (즉, 탄소성분이 풍부하다는 것으로 보아 C가 N보다 클 때)
44. 모르타르의 구성성분 = 물 , 모래, 시멘트
- 시멘트와 물을 배합해서 만든 결합재를 시멘트풀 혹은 시멘트 페이스트라고 한다.
- 시멘트풀 혹은 시멘트 페이스트에 모래를 추가한 것을 모르타르라고 한다.
45. 벽돌쌓기에서 방수를 겸한 치장줄눈용으로 쓰이는 시멘트와 모래의 배합비율 = 1:1
- 벽돌 줄눈의 시멘트
- 시멘트 : 모래의 배합비는 보통 일반적인 쌓기용에는 1:3, 방수용 또는 치장줄눈용은 1:1로 한다.
46. 다량원소와 미량원소
- 다량원소 : C, H, O, N, P, K, Ca, Mg, S
- 미량원소 : Fe, Mn, B, Zn, Cu, Mo, Cl
47. 프랑스식 벽돌쌓기
- 매 켜에 길이 쌓기와 마구리 쌓기를 번갈아 하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치장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 반절토막, 이오토막, 칠오토막을 사용하여 모서리를 맞춘다.
48. 조경석 가로쌓기 작업이 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명시가 없을 경우 높이가 메쌓기는 1.5m 이하로 한다.
- 조경석 가로쌓기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사용 유무에 따라 메쌓기와 찰쌓기로 나뉜다.
- 메쌓기는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사용없이 뒤 틈새에 굄돌을 고인 후 흙으로 뒤채움하여 쌓는 방식으로 배수가 잘 되어 토압을 증가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견고하지 못해 공사시방서 명시가 없을 경우 높이를 1.5m 이하로 제한한다.
- 찰쌓기는 눈줄에 모르타르를 사용하고 뒤채움에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견고하나 배수가 불량해지면 토압이 증가해 붕괴의 우려가 있다.
49. 장미 검은무늬병은 주로 식물체의 '잎'에 발생한다.
- 장미의 검은 무늬병은 병든 장미 잎에 검은색 점이 나타나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장미의 품종을 막론하고 세계적으로 장미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50. 들잔디의 관리 설명
- 해충은 황금충류가 가장 큰 피해를 준다.
- 들잔디의 깎기 높이는 2~3cm로 한다.
- 병은 녹병의 발생이 많다.
- 한국잔디 난지형잔디인 들잔디는 난
- 지형잔디의 경우 뗏밥은 생육이 왕성한 6~8월에 준다.
(한지형잔디의 경우 봄, 가을에 준다.)
조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모의고사 요점정리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일부 내용들 중에 그림이나 사진이 필요한 경우에서는 인터넷에서 쉽게 검색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공부하시면 되고, 조경기능사 필기의 전반적인 요점정리를 필요로 하신 분들은 본 블로그의 이전 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조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기능사 필기 :: 기출문제 요점정리 (5) (2) | 2025.04.05 |
---|---|
조경기능사 필기 :: 모의고사 요점정리(4) (5) | 2025.04.04 |
조경기능사 필기 :: 기출문제 요점정리(2) (3) | 2025.04.02 |
조경기능사 필기 :: 기출문제 요점정리 (1) (0) | 2025.04.01 |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 관리 (요점정리) (1)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