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기능사 필기 :: 서양조경사 (서양의 조경양식)
조경기능사 필기에서 서양조경사 관련 출제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서양의 조경양식에 대한 내용은 잘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서양조경사 (서양의 조경양식)
서양 조경사 시대흐름 순서
고대 이집트·서아시아 → 그리스 → 로마 → 스페인(중정식) → 이탈리아(노단식) → 프랑스(평면기하학식) → 영국(정원풍경식) → 독일(자연풍경식, 과학식) → 미국(공원식, 현대식)
1. 고대 조경 (이집트, 서부아시아, 그리스, 로마)
고대조경에서는 전체적으로 정형식 정원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고대 이집트, 서아시아는 사막과 모래의 지형과 일교차가 크며, 강수량이 현저히 낮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같은 환경 속에 물이 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관개기술이 발달되었다는 것까지 연결해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이집트 (정형식 정원)
- 묘지정원 : 사자의 정원 (죽은 자의 정원으로 무덤 벽화를 통해 추측)
- 주택정원 : 높은 울담과 수목을 열식했으며 연못가에 키오스크, 화훼류를 심어 원로에 배치, 무덤 벽화를 통해 추측
- 신전정원 : 데르헬바하리 지역의 핫셉수트 여왕의 장제신전(세계 최초 최고 조경유적, 유일한 현존) 다신교로 태양신 숭배
- 사막기후로 덥고 건조하여 강수량이 적어 관개농업이 발달
2) 서아시아 (정형식 정원)
- 이란, 이라크와 같은 메소포타미아 라고 생각하면 됨.
- 수렵원 : 왕과 귀족을 위한 사냥터로 오늘날 공원의 시초
- 바빌론의 공중정원 : 최초의 옥상정원으로 노단 위에 수목과 덩굴식물 식재, 유프라테스강에서 관수하여 인공관수와 방수층을 만듬
- 지구라트 : 멀리서 적들이 오는 것을 지켜 볼 수 있도록 탑과 같은 건축물 및 천체관측
- 파라다이스원 : 천국을 상상하여 조성하여 지상낙원을 재현
- 사막기후로 덥고 건조하여 강수량이 적어 관개농업이 발달
3) 그리스 (정형식 정원)
- 지중해 기후로 바다지향, 바다중심, 구릉이 많고, 민족성과 공공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 짐나지움 : 원래 체육훈련장과 같은 공공적인 정원이 발달 (아카데미도 발달)
- 아고라 : 광장. 건물에 둘러 쌓인 상업(시장) 및 집회, 토론, 선거 등의 기능을 하던 공공의 옥외 광장
- 히포다무스(히포데이무스) : 격자형 도시계획이 채택 (서민들의 정원 발달 하지 못했다 - X, 왕이나 귀족의 저택은 대규모로 사치롭다 - X)
- 주택정원 : 프리엔의 주택, 아도니스원
4) 로마 (정형식 정원)
- 폼페이의 주택정원 : ① 제1중정 (아트리움) - 공적기능 ② 제2중정 (페리스틸리움) - 가족을 위한 사적기능 ③ 후원기능 (지스터스) 과수, 채소 재배
- 포룸(포름) : 공공의 장소로 후세 광장으로 발달 했는데 그리스의 아고라의 영향을 받았으나 '시장'은 따로 있기 때문에 '시장'의 역할은 하지 않았다. 향후 '포럼'에 영향
- 빌라(별장) : 라오렌티장, 터스카나장, 아드리아누스장
2. 중세 조경
봉건사회로 인한 문화적으로 암흑기로 주로 종교적 수도원에서의 조경이 발달 하여 내부지향적인 폐쇄적인 특징이 있다. 중세수도원 교단 건물의 기둥에 둘러 쌓인 중정식 정원 특징을 가지고 회랑식 중정으로 4분원정원을 꾸며 낮게 깍은 회양목이 구획을 구분되어져 안에 꽃이나 다른 나무를 심었다. 회양목, 주목을 통해 형성수를 이용(토피어리)
- 클라우스트룸 : 중세수도원의 전형적인 정원으로 예배실을 비롯한 교단의 공공건물에 둘러싸인 네모난 공지
1) 스페인 정원 (정형식)
-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정식 정원양식의 특징
- 물(분수, 연못), 색채타일을 사용해 기하학적 아름다운 특징 (Patio & 색채타일)
- 알함브라성 : 그라나다 지역의 스페인 현존하는 대표적인 이슬람 정원
- 알베르카 중정 : 공적기능
- 사자의 중정 : 사자상 분수, 물의 존귀성 의미
- 린다라야 중정 : 여자들의 공간
- 레야 중정 : 창격자의 중정, 사이프러스 식재
- 헤네랄리페 궁원 : 수로의 중정이라 불리어 캐널 양끝에 대리석으로 만든 연꽃모양의 분수반이 있고, 물이 이곳을 통과해 캐널로 흐르게 한 파티오식 정원
- 그라나다 왕이 사는 곳이라기 보다 피서를 위한 은둔처
- 2궁의 명칭으로 알함브라궁전과는 구분해서 보아야 함
2) 인도정원 (정형식 정원)
- 타지마할 : 16세기 무굴제도, 인도정원의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도건축물. (샤자한이 왕비를 추념하기 위한 묘지정원)
- 인도정원은 물을 대표적인 정원요소로 이용하여 종교적, 실용적 용도로 이용
- 바그 : 건물과 정원을 하나의 유닛으로 하는 환경계획(이탈리아의 빌라개념)
3. 르네상스 조경
정원이 건축의 일부로 종속되던 시대에서 벗어나 건축물을 정원양식의 일부로 다루는 경향이 출현. 르네상스 문화와 더불어 최초로 노단건축식 정원이 발달한 곳은 이탈리아 피렌체. 인간과 자연을 중점
1) 이탈리아 (정형식 정원)
- 노단식, 계단식, 케스케이드, 테라스, 빌라
- 인본주의 및 자연주의 시작과 함께 르네상스 시대부터 크게 발달
- 구릉과 경사지의 영향으로 빌라, 노단건축식(테라스), 계단식 발달
- 케스케이드 : 여러 단을 만들어 물을 흘러내리게 하는 계단형 폭포
- 빌라메디치(최초빌라), 빌라데스테(=에스테장, 4단 형식, 분수 多 100개), 란테(랑테), 파르네제장
2) 프랑스 (정형식 정원)
- 평면기하학식 조경양식, 르노트르, 보르비콩트, 베르사유궁전, 비스타, 자수화단
- 비스타 : 주축선 양쪽으로 수림을 만들어 주축선을 강조, 시선이 좌우로 제한하여 일정지점으로 모이도록 통경선 강조 수법이라고도 불리며 정원을 한층 넓게 보이는 효과
- 앙드레 르노트르(프랑스 조경의 아버지)가 최초의 평면기하학 정원 보르비콩트를 만들었는데 루이14세가 이를 보고 더 크고 멋있게 만들어 달라고 해서 르노트르가 최대규모의 베르사유 궁전을 설계
3) 영국
- 11~17세기 정형식 정원 → 18세기 자연 풍경식 정원
- 18C 낭만주의 운동으로 영국의 풍토와 환경 여건에 맞는 운동전개 → 자연풍경식 정원 (영국→독일)
- 스토우정원 : 브릿지맨이 최초설계해 Ha-Ha 기법 도입(차경수법), 켄트&브라운 보완수정, 브라운 개조
- 윌리암켄트 : 근대조경의 아버지 "자연은 직선을 싫어한다" 많은 정원을 보완, 수정
- 브라운 : 스토우정원을 수정, 부드러운 기복의 잔디밭, 우거진 숲나무 정원에 도입
- 윌리암챔버 : 큐가든에 중국식 건물과 탑을 세우고, 브라운 정원 비판, 중국식을 좋아함
- 험프리랩턴 : 풍경식 정원의 완성자, 개조 전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레드북 창안, 정원사라는 단어 처음 사용
- 19c 시민을 위한 리젠트파크(귀족→개방) → 버큰헤드 공원(주택 분양을 기금으로 최초 시민의 힘으로 시민을 위한 공원 → 향후 미국의 센트럴파크에 영향
4) 독일
- 과학적 기반을 중시하여 식물생태학, 식물지리학에 기초
- 독자적인 조경양식 보다는 주변나라에서의 정원을 모방
- 분구원 : 200제곱미터 단위로 시민에게 임대하는 형식의 실용적 소정원지구
- 괴테 : 바이마르 공원 설계
5) 미국
- 센트럴파크 : 1858년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현대조경의 아버지)와 캘버트 보우가 설계 - 그린스워드안
- 영국인 캘버트 보우와 옴스테드가 공동으로 제시한 자연풍경식의 센트럴파크가 현상공모 당선
- 영국의 버큰헤드공원의 영향
- 입체적 동선체계(평면적 동선체계X)
- 넓고 쾌적한 마차 드라이브 코스
- 차음과 차폐를 위한 주변식재
- 동적놀이를 위한 운동장(경기장)
- 보트와 스케이팅을 위한 넓은 호수
- 교육을 위한 화단과 수목원 등의 시설
- 옐로우스톤 국립공원(1872년 : 국립공원 발달에 기여한 최초의 미국 국립공원
- 요세미티 국립공원(1890년) 최초의 자연공원
6) 네덜란드 정원
- 운하식 정원 튤립, 히야신스, 아네모네, 수선화 등 구근류 장식
- 테라스를 전개 불가 - 분수, 케스케이드 채택 X
- 상대적으로 작고, 한정된 공간에서의 다양한 변화 추구
- 규모가 2배 이상이다 X
4. 현대조경
1) 미국
- 영국 하워드 전원도시론 : 영국의 산업혁명으로 도시의 팽창, 인구집중으로 이상도시 제안
- 미국 뉴저지 레드번 계획
- 차도와 보도를 분리한 격자형
- 격자형 슈퍼블럭을 만들어 보행자와 차량을 분리
- 쿨데삭 : 주택단지에 설치되는 도로, 단지내 막다른 길을 조성하여 차량의 회전통행 가능, 소음 및 안전 도모
서양조경사는 서양의 조경 발전과 그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분야입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정원은 조경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르네상스와 근대에 이르러서는 자연과 인공을 조화롭게 결합한 조경이 발전했습니다. 특히, 영국과 프랑스의 정원은 당시 문화적,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며 조경의 미학적 요소를 강조한 사례로 유명합니다. 서양조경사의 주요 흐름을 배우는 것은 오늘날 현대 조경 디자인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다양한 시대적 변화를 통해 어떻게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해왔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서양조경사는 조경기능사 출제 비중이 꽤 차지 하기 때문에 잘 익혀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조경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설계 - 디자인원리 (1) | 2025.02.28 |
---|---|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 설계 - 설계기준 (2) | 2025.02.28 |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계획 (1) | 2025.02.26 |
조경기능사 필기 :: 동양조경사 (중국 일본 한국) (1) | 2025.02.24 |
조경기능사 필기 :: 조경 일반 개념 (2) | 2025.02.18 |